1. 제어의 역전(Inversion of Control)
- IoC ?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클라이언트 구현 객체가 제어하지 않고 외부의 구성 영역에서 가져가는 것을 제어의 역전이라고 한다.
- 기존 프로그램들은 클라이언트 구현 객체가 스스로 필요한 서버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고 실행되어 구현 객체가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스스로 조종했다.
- AppConfig의 등장으로 구현 객체는 자신의 로직을 실행하는 역할만 담당하며 프로그램 흐름 제어는 이제 AppConfig가 가져간다. 따라서 ~ServiceImpl은 필요한 인터페이스들을 호출하지만 어떤 구현 객체들이 실행될지는 알 수 없다.
- 프로그램에 대한 제어 흐름에 대한 권한은 모두 AppConfig가 가지고 있고 구현체 역시 AppConfig가 생성한다. AppCofig는 특정 서비스 구현체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의 다른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실행가능하다.
2. 의존관계 주입 DI (Dependency Injection)
- 의존관계는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와 실행 시점에 결정되는 동적인 객체(인스턴스)의 의존 관계 둘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 정적인 의존관계는 실행하지 않고도 알 수 있는 것이다.
-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런타임 시)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되는 것을 '의존 관계 주입'이라고 한다.
- 의존관계 주입을 통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대상의 타입을 인스턴스를 변경할 수 있으며 정적인 클래스의 의존관계를 변경하지 않고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 가능하다.
3. IoC 컨테이너, DI 컨테이너
- AppConfig 처럼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주는 것을 IoC 컨테이너 또는 DI 컨테이너라고 한다.
- 의존 관계 주입에 초점을 맞춰 최근에는 DI 컨테이너라 불리며 혹은 어셈블러, 오브젝트 팩토리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4. 어노테이션을 활용하여 스프링으로 전환
1) @Configuration 과 @Bean의 어노테이션을 붙여준다.
- AppConfig를 통해 기존에는 직접 객체를 생성하고 의존주입을 했지만, 스프링 컨테이너를 활용해서 쉽게 의존성 주입이 가능하다.
2) 스프링 컨테이너는 @Configuration이 붙은 AppConfig 설정 정보를 사용한다.
- 각 메서드에 @Bean을 붙여주면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자동으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3) 스프링 빈을 사용하려면 applicationContext.getBean("등록된 빈 이름", 클래스) 메서드를 사용하면 찾을 수 있다.
5. 스프링 컨테이너
- ApplicationContext는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하며 기존에 개발자는 AppConfig를 통해 직접 객체를 생상하고 DI를 했으나 이제부터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쉽게 사용가능하다.
- 스프링 컨테이너는 @Configuration이 붙은 AppConfig를 설정 정보로 사용하며 @Bean이라 적힌 메서드를 모두 호출해 반환된 객체들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 이렇게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들을 스프링 빈이라고 한다.
- 스프링 빈은 @Bean이 붙은 메서드 명을 스프링 빈의 이름으로 사용하며 이전에는 필요한 객체를 AppConfig를 사용해서 직접 조회했으나 이제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필요한 스프링 빈을 찾아야 하며, 이러한 스프링 빈은 applicationContext.getBean() 메서드를 통해 찾을 수 있다.
인프런의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원리"라는 강의를 보고 직접 공부하면서 작성하였습니다.
혹시 문제가 있다면 바로 삭제하겠습니다.
'프로그래밍공부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ean의 개념과 생성원리 및 과정 (0) | 2022.09.04 |
---|---|
스프링 컨테이너 (0) | 2022.06.15 |
스프링이란 - 2 (0) | 2022.04.11 |
스프링이란 - 1 (0) | 2022.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