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운영체제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원리-2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1. 입출력 구조 입출력(I/O)이란 컴퓨터 시스템이 컴퓨터 외부의 입출력 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말한다. 입출력 방식에는 동기식 입출력과 비동기식 입출력이 있다. 1) 동기식 입출력(synchronous I/O) 동기식 입출력(synchronous I/O)은 어떤 프로그램이 입출력을 요청했을 때 입출력이 완료된 후에야 그 프로그램이 후속작업을 수행할 수 잇는 방식을 말한다. 동기식 입출력에서 CPU는 입출력 연산이 끝날 때까지 인터럽트를 기다리며 자원을 낭비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 입출력을 수행 중인 경우 CPU를 다른 프로그램에게 이양해 CPU가 계속 쉬지 않고 일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을 몇 가지 상태로 나누고 입출력 중인 프로그램의..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원리-1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1.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는 컴퓨터의 내부장치인 CPU, 메모리와 컴퓨터 외부 장치인 디스크,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네트워크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컴퓨터는 외부장치에서 내부장치로 데이터를 읽어와 각종 연산을 수행하며 그 결과를 외부장치로 다시 내보내는 방식으로 업무를 처리한다. 메모리 및 입출력장치 등의 각 하드웨어 장치에는 컨트롤러라는 것이 붙어 있다. 컨트롤러는 일종의 작은 CPU로서 컴퓨터 전체에 CPU라는 중앙처리장치가 있듯이 컨트롤러는 각 하드웨어 장치마다 존재하면서 이를 제어한다. 2. CPU 연산과 I/O 연산 컴퓨터에서 연산을 한다는 것은 CPU가 무언가 일을 한다는 뜻이며, 입출력 장치들의 I/O 연산은 입출력 컨트롤러가 담당하고 컴퓨터 ..

    운영체제(OS)의 자원 관리 기능

    운영체제(OS)의 자원 관리 기능 1. 운영체제의 자원 관리 기능 운영체제의 가장 핵심적인 기능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자원은 하드웨어 자원과 소프트웨어 자원으로 나뉜다. 하드웨어 자원은 CPU와 메모리를 비롯해 주변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라 불리는 장치들로 구성된다. CPU는 CPU 스케줄링을 통해 여러 프로세스들이 CPU를 효율적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된다. 메모리는 메모리 관리를 통해 한정된 메모리를 어떻게 나누어 사용할 것인가를 관리한다. 입출력장치는 입출력 관리를 통해 각기 다른 입출력 장치와 컴퓨터 간에 어떻게 정보를 주고받을 것인가를 관리된다. 디스크는 파일 관리를 통해 디스크에 파일을 저장되는 방식 및 접근 권한에 대해서 관리한다. 운영체제는 프로세스의 생성과 삭제,..

    운영체제(OS)에 대하여

    운영체제(OS) 1. 운영체제의 정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란 컴퓨터 하드웨어 바로 윗단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사용자 및 다른 모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계층 컴퓨터 시스템을 운영하는 기본적인 소프트웨어를 운영체제 2. 커널 운영체제도 하나의 소프트웨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기 위해서 메모리에 올라가게 됨 그러나 운영체제처럼 규모가 큰 프로그램이 모두 메모리에 올라갈 수 없어 운영체 중 항상 필요한 부분만을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메모리에 올려놓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필요할 때 메모리에 올려서 사용 커널은 좁은 의미의 운영체제로 메모리에 상주하는 운영체제의 부분 커널은 운영체제 코드 중에서 핵심적인 부분를 나타냄 넓은 의미의 운영체제는 커널 뿐만 아니라 시스템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