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CORS란? (Spring Boot+Security 처리)

    1. CORS란? Cross Origin Resource Sharing의 약자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origin을 가진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프로토콜이다. CORS는 웹 개발을 하다가 만날 수 있는 이슈이며 프론트엔드 개발시에 로컬에 API 서버 요청을 보낼 때 생겨나는 문제이다. 서로 다른 도메인 간에 자원을 공유할 떄 대부분 브라우저는 이를 기본적으로 차단하고 서버 측에 헤더를 통해 사용 가능한 자원을 알려준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vue로 돌아갈 때 포트번호가 서버 애플리케이션 포트번호와 다르므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다른 origin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사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같은 origin을 가진 경우에만 서로 통신할 수 있고 이것을..

    HTTP와 HTTPS의 개념과 차이점에 대하여

    1. HTTP 1)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서로 다른 시스템들 사이에 통신을 주고 받게 해주는 가장 기본적인 프로토콜이다. 웹 서핑을 할 때 서버에서 자신의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며,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에 맞춰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인터넷 초기에 모든 웹 사이트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었던 프로토콜이었다. 80번 포트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프로토콜 ? 컴퓨터 내부에서 또는 컴퓨터 사이에 데이터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세계이다. 기기 간 통신은 교환되는 데이터의 형식에 대해 상호 합의를 요구하며 이런 형식을 정의하는 규칙의 집합이다. 2) HTTP의 구조..

    Transaction에 대하여

    1. Transaction 1) Transaction 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라고 할 수 있으며 트랜잭션에는 여러 개의 연산이 수행도리 수 있다. 트랜잭션은 수행중에 한 작업이라도 실패하면 전부 실패하고, 모두 성공해야 성공이라고 할 수 있다. 2) Transaction의 ACID 4가지 특징 - ACID는 트랜잭션이 안전하게 수행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성질이다. Atomicity(원자성) : 트랜잭션의 연산은 모든 연산이 완벽히 수행되어야 하며, 한 연산이라도 실패하면 트랜잭션은 실패해야 한다. Consistency(일관성) : 트랜잭션은 유효한 상태로만 변경될 수 있다. Isolation(고립성) : 트랜잭션은 동시에 실행될 경우 다른 트랜잭션에 의해..

    HTTP 상태코드

    1. 상태 코드 HTTP API에 대해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면 서버 측에서 응답 메시지를 돌려주는데 이 상태코드에서 1xx (Informational) :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 중 -> 거의 사용되지 않음 2xx(Successful) :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 3xx(Redirection) : 요청을 완료하면 추가 행동이 필요 4xx(Client Error) : 클라이언트 오류, 잘못된 문법등으로 서버가 요청을 수행할 수 없음 5xx(Server Error) : 서버 오류이며 서버가 정상 요청을 처리하지 못함 1) 2xx - 성공 200(OK) : GET과 같은 조회 요청에 성공적으로 응답하는 경우 201(Created) POST와 같은 생성 요청으로 리소스 생성이 정상적으로 된 경우에 해당 응답 메..